Etc/Linux
[Shell] awk 명령어로 컬럼 단위 조건 검색하기
[Shell] awk 명령어로 컬럼 단위 조건 검색하기
2022.06.07awk는 패턴과 일치하는 문자열을 검색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어 잠깐만요! 그건 grep 아닌가요? 라고 의문이 생기는 분도 계실겁니다. 네 맞습니다. grep이라는 명령어 또한 마찬가지로 패턴과 일치하는 문자열을 찾을 때 사용합니다. 그럼 awk와 grep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1. grep과 awk의 차이 먼저 grep은 라인 단위로 패턴을 검색합니다. 결과는 패턴과 일치하는 라인을 반환하며 옵션 또한 검색된 라인을 기준으로 무엇을 더 보여줄까! 라는 기능이 많습니다. 그래서 정형화되지 않은 일반 텍스트를 검색할 때 유용하게 사용합니다. 반면, awk는 정형화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검색할 때 유리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정형화된 데이터는 공백 또는 특정 기호로 구분된 정해진 형식의 데이터를 말합니..
[Shell] Grep으로 원하는 내용 검색하기
[Shell] Grep으로 원하는 내용 검색하기
2022.06.06우리는 원하는 결과에 빠르게 도달하기 위해 키워드를 기반으로 검색하곤 합니다. 웹 페이지나 에디터같은 익숙한 GUI환경에서는 Ctrl + F 또는 Cmd + F 를 통해 검색하는 것은 늘상 있는 일이죠. 하지만 개발을 하다보면 때로는 터미널 환경에서 검색을 해야하는 상황도 발생하고는 합니다. 이때에는 우리가 GUI환경에서 사용하던 방법으로 검색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럼 터미널에서는 어떻게 찾으면 좋을까요? 바로 이 때 사용하면 좋은 것이 grep 이라는 명령어입니다. grep은 GNU와 FreeBSD 2가지 버전이 존재하는데, 버전마다 옵션에 조금 차이가 있으므로 실습 결과가 조금 다를수도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Mac(BSD) 기준으로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grep은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
[Linux]터미널 화면 지우는 방법
[Linux]터미널 화면 지우는 방법
2020.09.16clear 현재 커맨드라인을 가장 위로 올려서 기존에 입력한 내용들을 가려버린다. 그래서 스크롤바를 위로 올리면 이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기본 단축키는 Ctrl + L 로 설정되어 있다. printf '\033[3J' 스크롤한 데이터를 전부 지운다. reset 터미널 자체를 새로 초기화한다. 그래서 이전에 출력된 내용이 모두 사라지며 자연히 스크롤바도 없어진다. 하지만 방향키를 통해 이전에 입력한 명령어는 확인이 가능하다. 그리고 putty로 접속한 경우 화면을 지우지 않는다. cls 명령어 만들기 $ sudo vi /usr/local/bin/cls -- cls 내용 #!/bin/bash clear printf '\033[3J' --cls 내용 끝 저장 $ sudo chmod a+x /usr/loc..